본문 바로가기
음식의 문화와 역사

바클라바 (터키, 그리스) - 지중해 디저트의 기원과 확산

by creemyhan 2025. 3. 5.

1. 바클라바의 역사와 기원: 오스만 제국에서 지중해로

바클라바(Baklava)는 지중해와 중동 지역에서 널리 사랑받는 대표적인 전통 디저트로, 터키와 그리스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에서 자국의 고유한 음식 문화로 인식하고 있을 만큼 기원에 대한 논란이 많습니다. 바클라바는 얇게 밀어 만든 반죽(필로 도우) 사이에 견과류와 꿀 또는 시럽을 겹겹이 쌓아 오븐에 구워 만드는 것이 특징으로, 바삭한 식감과 달콤한 풍미가 조화를 이루는 디저트입니다.

바클라바의 기원은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학자들은 오스만 제국(1299~1922년)에서 정형화된 형태로 발전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오스만 제국은 유럽, 중동, 북아프리카를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면서 다양한 음식 문화를 융합했으며, 궁중에서 정교하게 조리된 바클라바가 왕족과 귀족들의 디저트로 발전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바클라바의 뿌리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대 메소포타미아 및 페르시아 제국의 전통적인 페이스트리에서 유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특히 기원전 8세기경 페르시아에서는 얇은 반죽에 견과류를 채우고 꿀을 발라 구운 디저트가 존재했으며, 이러한 전통이 실크로드와 지중해 무역을 통해 다양한 지역으로 퍼졌습니다.

그리스에서는 바클라바가 비잔틴 제국(330~1453년) 시절부터 존재했다고 주장하며, 터키와 그리스 양국이 바클라바의 기원에 대한 논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비잔틴 제국이 오스만 제국으로 흡수되면서 두 문화가 융합되었고,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바클라바의 형태가 완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바클라바는 오랜 역사 속에서 오스만 제국의 궁중 요리를 거쳐 터키와 그리스 등 지중해 국가로 확산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로 퍼져 나간 대표적인 디저트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바클라바 (터키, 그리스) - 지중해 디저트의 기원과 확산

 

2. 바클라바의 변형: 지역별 독특한 스타일과 차이점

바클라바는 지역마다 재료와 조리법이 조금씩 다르며, 특히 터키식 바클라바와 그리스식 바클라바는 몇 가지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1) 터키식 바클라바 (Türk Baklavası)

  • 주로 피스타치오 또는 호두를 사용하며, 지방에 따라 견과류 종류가 다릅니다.
  • 반죽(필로 도우)은 얇고 바삭한 식감을 강조하며, 전통적으로 버터를 발라 여러 겹을 쌓아 만듭니다.
  • 시럽은 주로 설탕과 레몬즙을 이용해 만들며, 꿀을 사용하는 경우는 적습니다.
  • 대표적인 종류로는 안텝 바클라바(Antep Baklavası, 피스타치오 사용), 첼보 바클라바(Çelebi Baklava, 크림과 함께 제공) 등이 있습니다.

2) 그리스식 바클라바 (Greek Baklava)

  • 터키식과 달리 주로 호두를 사용하며, 계피 등의 향신료를 가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시럽은 꿀을 기본으로 사용하여, 터키식보다 더 진한 단맛과 풍부한 풍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필로 도우의 두께가 터키식보다 두껍고 층이 더 적습니다.

3) 중동 및 기타 지역의 바클라바 변형

  • 레바논, 이란, 시리아에서는 장미수나 오렌지 꽃수를 첨가해 독특한 향을 더한 바클라바가 인기 있습니다.
  • 아르메니아 바클라바는 계피와 정향을 강하게 사용하여 좀 더 향신료 풍미가 강합니다.
  • 이란식 바클라바는 시럽 대신 꿀과 사프란을 활용해 더욱 고급스러운 맛을 냅니다.

이처럼 바클라바는 지역마다 다른 조리법과 재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스타일로 진화해왔으며, 각국에서 자국만의 바클라바를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습니다.

 

 

 

3. 바클라바의 영양과 건강적 측면

바클라바는 달콤하고 풍부한 맛이 특징이지만, 높은 칼로리와 당 함량으로 인해 건강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디저트입니다.

1) 바클라바의 영양 성분

  • 바클라바 1조각(약 50g)의 평균 칼로리는 250~350kcal이며, 설탕과 버터가 많이 들어가므로 지방과 탄수화물이 높은 편입니다.
  • 주재료인 견과류(피스타치오, 호두, 아몬드)는 불포화 지방산과 단백질, 미네랄(마그네슘, 아연, 철분)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 가치가 높습니다.
  • 필로 도우는 밀가루 기반이므로 탄수화물이 많으며, 정제된 밀가루 사용으로 인해 섬유질 함량이 낮습니다.

2) 건강하게 바클라바를 즐기는 방법

  • 설탕과 꿀의 양을 조절하여 단맛을 줄인 바클라바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 통밀 필로 도우를 사용하면 섬유질 함량을 높일 수 있습니다.
  • 견과류의 함량을 늘려 단백질과 건강한 지방의 비율을 높이면 영양 균형이 맞춰집니다.
  • 1회 섭취량을 조절해 과다 섭취를 방지하는 것도 건강을 위한 좋은 방법입니다.

최근에는 설탕 대신 천연 감미료(스테비아, 아가베 시럽)를 활용하거나 저칼로리 바클라바를 개발하는 등의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어, 더욱 건강한 방식으로 즐길 수 있는 바클라바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4. 바클라바의 미래: 글로벌 확산과 현대적 변형

바클라바는 이제 단순한 지중해 디저트가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글로벌 디저트로 자리 잡았습니다.

1) 글로벌 확산과 현대적 트렌드

  • 미국과 유럽에서는 건강한 디저트 열풍에 따라 저당(低糖) 바클라바, 글루텐 프리 바클라바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프랑스, 영국 등에서는 프리미엄 바클라바 브랜드가 등장하며 고급 디저트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2) 퓨전 바클라바의 등장

  • 바클라바와 치즈케이크를 결합한 "바클라바 치즈케이크"
  • 초콜릿을 추가한 "초콜릿 바클라바"
  • 아이스크림과 곁들인 "바클라바 아이스크림" 등 다양한 퓨전 메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3)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 바클라바

  • 건강과 환경을 고려해 식물성 버터를 사용한 비건 바클라바도 출시되고 있습니다.
  • 친환경 재료와 공정 무역 원료를 사용하는 브랜드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바클라바는 오랜 역사 속에서 지중해와 중동의 다양한 문화가 융합된 디저트로 발전하였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달콤한 간식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건강한 변형과 지속 가능한 개발을 통해 바클라바는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며 세계인의 디저트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